July 10, 2025

서울 아파트 시장 '극과 극'... '똘똘한 한 채' 선호는 계속, 중저가 아파트는 '눈치' 보며 '올파포' 잔금대출 중단에 예비청약자들 '멘붕'

서울 아파트 시장 '극과 극'... '똘똘한 한 채' 선호는 계속, 중저가 아파트는 '눈치' 보며 '올파포' 잔금대출 중단에 예비청약자들 '멘붕'

서울 아파트 관련 뉴스 요약

  1. 대출 규제와 ‘똘똘한 한 채’ 선호: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양도소득세, 취득세 세율에 차등을 두는 현행 세제가 ‘똘똘한 한 채’를 장려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입니다.

  2. 서울 아파트 시장 동향: 대출 규제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이 일부 진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저가 아파트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높습니다.

  3. 분양권 거래 감소: 대출 규제 발표 이후 분양권 거래가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규제 이후 13일간 거래는 4건에 불과했습니다.

  4. 잔금대출 어려워져: 주요 은행들이 ‘올파포’ 잔금대출을 중단하면서 예비 청약자들의 자금 조달 계획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5. 전세보증금 반환 문제: 전세보증금을 반환하지 못해 강제경매 신청이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대출 규제 강화로 집주인들의 전세금 반환용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줄어들었습니다.

  6. 서울 아파트 가격: 서울 아파트 가격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12억 원 아파트는 세금이 ‘0원’이라는 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7. 재건축과 분양가 상한제: 재건축 아파트의 거래가 활발하지 않은 반면,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의 청약 경쟁률은 높습니다.

  8. 강남권 아파트 거래 감소: 강남권의 ‘톱 티어’ 아파트 거래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목동과 상계동 등 재건축을 추진 중인 아파트 단지의 가격은 올랐습니다.

  9. 청약 시장 열기: 규제에도 불구하고, 서울 내 ‘알짜 분양’들이 흥행을 이루고 있습니다.

  10. 이주비 대출 규제 완화 요구: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 이주비 대출 역시 최대 6억 원 한도, 6개월 이내 전입 의무가 주어지면서 이를 원점에서 재검토해달라는 청원이 등장했습니다.

부동산 전문가 의견

최근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 서울 아파트 시장은 다소 진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는 여전히 강합니다. 이는 세제 혜택과 높은 시세 차익 가능성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인 집값 안정은 불확실하며, 규제의 허점을 노린 새로운 투자 방식이 등장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합니다. 따라서, 정부는 시장의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적절한 정책을 펴야 할 것입니다.

Copyright: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4.0 International (CC BY-NC-SA 4.0)

Author: 벤틀리 집사

Posted on: July 10, 2025